스파르타와 아테네, 리쿠르고스의 개혁(조정희님 글) 1.스파르타와 아테네 고대 그리스가 하나의 통일국가가 아니었던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때로는 서로 패권을 놓고 각축했고 때로는 연합해서 페르시아에 대항했던 여러 도시국가들을 뭉뚱그리는 이름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은 아테네와 스파르타, 테베와 코린트 정도일 것이다. 그..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13.03.02
[스크랩] (4) 글쓰기 이규보(1168~1241) 선생은 고려의 계관시인으로 불린다. 백운거사, 삼혹호 선생 등의 칭호가 낯설지 않거나 <동국이상국집>과 <국선생전>, <백운소설> 등의 저서가 떠오른다면 국어와 국사 공부에 게으르지 않았다는 뜻이겠다. 그런데 그분의 작품, 특히 <동국이상국집>에 실린 서사시 <..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11.08.16
마이 하트 윌 고우 언 <제118호> 마이 하트 윌 고우 언 2004년 01월 01일 1월 첫날부터 12월 마지막날까지 미혜씨가 전혀 함께 하지 않았던 첫 한 해를 보냈습니다. 여러해에 걸친 처절한 싸움을 패배로 마무리 한 것이 2002년이었다면 2003년은 그 패배가 긴 여운을 남긴 좌절의 시간이었습니다. 추억 이외에는 미혜씨로부터 아..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어리석다'에 대하여 (8): 한국 원숭이 (2) <제117호> '어리석다'에 대하여 (8): 한국 원숭이 (2) 2003년 08월 24일 (앞에서 계속) 고려와 조선의 시인들은 주로 원숭이의 '소리'를 노래했습니다. 먼저 동국이상국집에 나오는 이규보의 시에도 '원숭이 소리'가 여러 번 나옵니다. 예컨대 "북산에서 다시 놀면서-2수(重遊北山二首)"에 두 번, "감로사에 ..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어리석다'에 대하여 (7): 한국 원숭이 (1) <제116호> '어리석다'에 대하여 (7): 한국 원숭이 (1) 2003년 08월 22일 '어리석다'를 살피는 중입니다. 어리석음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했습니다. '바보'는 타고난 어리석음, '어림'은 성장 미달의 어리석음, '미련함'은 고집스런 어리석음이라고 했고, 원숭이 마음이라고 풀리는 '우(愚)'는 원숭이처럼 ..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어리석다'에 대하여 (6): 원숭이 마음 <제115호> '어리석다'에 대하여 (6): 원숭이 마음 2003년 08월 19일 '어리석다'의 뜻을 여럿으로 나누어서 바보, 어림, 미련함, 그리고 우(愚)까지 살펴봤습니다. '바보'는 나면서부터 마음 작용이 모자라는 것을 가리킵니다. '어림'은 아직 일정한 기준에 도 달하도록 성장하지 못해서 생기는 마음 작용의..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무슨 무슨 주의(主義) (5): 기독(基督) <제114호> 무슨 무슨 주의(主義) (5): 기독(基督) 2003년 08월 15일 '그리스도주의'는 세 차례에 걸쳐 올린 무슨 무슨 주의(主義)에 대한 글의 결론 격입니다. 그 런데 바로 지난 글에서 기독(基督)이라는 이름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 이야기를 좀 더 자세히 써 보려고 했더니, <성경의 한국 개..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무슨 무슨 주의(主義) (4): 그리스도 주의 (2) <제113호> 무슨 무슨 주의(主義) (4): 그리스도 주의 (2) 2003년 08월 14일 안디옥 교인들이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을 스스로 채택했었는지 아니면 남들이 붙여준 것인 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안디옥 교인들이 스스로 붙인 이름일 수도 있고, 안디옥 시민들이 교인들에게 붙여준 이름일 수도 있습니다...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무슨 무슨 주의(主義) (3): 그리스도 주의 (1) <제112호> 무슨 무슨 주의(主義) (3): 그리스도 주의 (1) 2003년 08월 13일 조선 성리학의 큰 두 분파가 주리설(主理設)과 주기설(主氣設)입니다. 세상의 으뜸 원리가 리(理)인가 기(氣)인가를 가지고서 퇴계와 율곡, 그리고 그 후예들인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논쟁을 거듭했던 이론들이지요. 당시로서는 ..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
무슨 무슨 주의(主義) (2): 예수님의패가르기법칙들 <제111호> 무슨 무슨 주의(主義) (2): 예수님의 패가르기 법칙들 2003년 08월 10일 근본주의, 보수주의, 개혁주의, 자유주의.... 한국 교회의 이념적 스펙트럼은 대체로 이 네 가 지로 구분되지 않을까 싶군요. 그런데 이 네 가지 주의에 공통점이 있는 듯 합니다. 서로 자기들이 복음주의를 견지한다고 합.. 예수와 우리/조정희칼럼 2004.02.08